p126
사실 한국의 시장은 '경쟁적 교환에 의한 시장 균형가격 결정'이라는 시장경쟁 요소는 매우 적은 반면, 재발기업 체계가 보여주듯이 독점이나 독과점, 기득권에 따라 발생하는 지대가 매우 넓고도 크게 존재하는 장소이다.
p127
독점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 정규직 비정규직 사이에 이제는 양극화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정립돼 구조화, 고착화 하는 단계에 들어섰다.
p309
컴퓨터와 네트워크에 의한 생산성이 늘면서 자본의 이동성은 높아진 반면, 노동의 힘은 약해져 임금과 고용을 보장하지 않는 비보장 노동(비정규직)을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한다.
p567
한국 노동 시장이 경직적이고 임금투쟁에만 주력하는 것도, 사회 안전망이 취약해 각자 스스로 모든 것을 책임져야 하기 때문이다. 노동자의 의식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오직 먹고살기 위해 임금인상에 매달리고 해고에 극단적으로 저항하는 것이다.
![]() | 우리시대 노동의 생애 - ![]() 조계완 지음/앨피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Work - 자본주의 사회의 모습 (0) | 2012.05.19 |
---|---|
[밑줄] 무엇이 누리의 성과를 방해하는가 (0) | 2012.05.18 |
[밑줄] 경제 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0) | 2012.03.17 |
[밑줄] 상품에 대한 물신숭배 (0) | 2012.03.17 |
[밑줄] 중국 없는 세계 - 식량과 화석연료 (0) | 2012.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