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95
자본주의의 문제가 사장이 일꾼들이 일한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것이라면, 자영업이 답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스스로를 고용한다고 해서, 아무도 착취 당하지 않을 수 있을까? 착취는 불공정한 분배의 문제다. 점점 더 소수에게 자본이 되는 현상은 한 사업체 내에서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사업체 간에도 일어날 수 있다.
p103
봉급 인상은 포드의 공장에 노동조합이 결성되는 것을 막았다. 포드의 타협은 궁극적으로 노동조합의 핵심적인 역할을 완전히 바꿔 버렸다. 이후로 노동조합의 본래 역할인 자본주의에 대한 저항은 완전히 사라졌다. 종업원들에게 충분한 봉급을 지급함으로 끊임없이 소비를 자극하고, 노동자들은 자신의 소비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자본가에게 협조하게 된다. 노동조합도 노동자들의 투쟁을 왈전한 혁명으로 이끌기보다 자본가와의 임금협상을 몰두했다. 노동 자체에 대한 반대에서 더 많은 몫을 차지하는 투쟁으로 바뀌어 갔다.
P111
정부가 운영하는 교육 사업은 젊은이들이 거리에서 배회하는 것을 막고, 그들에게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주입한다. 한편, 개인들이 운영하는 교육사업은 이익을 창출하는 상술이 되어 버렸다.
시민들이 사회의 일원으로 만들던 일자리가 상당히 사라지는 형국이 되었고, 이런각종교육을 개인이 받게 됨음으로써노동자가 더 노력하고 경력에 신경쓰는 분위기를 이끌어냄으로써 이 현상이 해고와 실패를 개인탓으로 돌릴 수 있게 한다.
![]() | 워크 Work - ![]() Crimethlnc 지음, 박준호 옮김/마티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밑줄] 청춘 착취자들 - 자본주의 계급 (0) | 2012.05.27 |
---|---|
[밑줄] 심리학의 즐거움 - 의욕의 원동력 (0) | 2012.05.26 |
[밑줄] 무엇이 누리의 성과를 방해하는가 (0) | 2012.05.18 |
[밑줄] 우리시대 노동의 생애 (0) | 2012.05.06 |
[밑줄] 경제 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0) | 2012.03.17 |